강아지는 어미 개의 모유를 먹고 지내는 생후 2~4주에 유치가 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유치는 빠르면 2개월 즈음, 일반적으로 생후 3~4개월부터 빠지기 시작합니다.
이갈이 문제로 병원에 가야할 때는?
처음 유치가 빠지기 시작하고 약 5개월, 생후 8개월이 되면 모든 영구치가 나옵니다. 이갈이 시기동안 약 28개의 유치는 앞니, 송곳니, 어금니의 순서로 나오며, 총 42개의 영구치가 단단히 자리를 잡아가는데요. 이 때 변화하는 상태를 잘 관찰해주셔야 합니다.
유치가 빠지지 않은 상태로 영구치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희 집 강아지의 경우에도 송곳니 유치가 있는 상태로 안쪽에서 영구치가 밀고 자라면서, 송곳니 바깥쪽에는 유치, 안쪽에는 영구치가 겹쳐지는 모양이 되었습니다
이는 강아지의 입도 불편해 보이고, 음식물이 자꾸 끼면서 문제가 발생했는데요. 결국 수의사와 상담 후에, 병원에서 중성화 수술을 하는 날 유치를 빼주었습니다.
무는 행동 교정에 중요한 시기
잇몸을 뚫고 새로 젖니가 나는 이갈이는 강아지에게 상당히 신경쓰이고, 아프고, 고통스러울 수 있는 일입니다. 그래서 강아지는 이 이상한 느낌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무언가를 계속 씹는 행동을 보입니다.
강아지 스트레스 낮추며, 사회화 훈련하기
사람 손, 가구, 전선 등 눈에 보이는 것은 죄다 씹으려는 욕구가 특히 강해지는 이 시기에는 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강아지의 본능은 놀이로 유도하고,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알려줘야 합니다.
1. 씹는 욕구는 장난감으로 해소시켜줍니다. 강아지가 무언가 씹으려고 할 때마다 부드럽고, 유연하며, 씹어도 부서지지 않는 강아지 이갈이용 장난감을 주어 스트레스를 풀게 도와줍니다.
2. 사람을 물었을 때는 ‘아!’라고 아프다는 소리를 내고 강아지에게 잠시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이 반복 학습은 사람을 무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3. 이갈이 시기 동안 강아지가 불편한 치아에서 벗어나도록 신경을 분산시킵니다. 산책, 놀이, 새로운 경험을 하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