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모니터나 핸드폰을 보는 것에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프린트가 된 서류를 보거나 책 등 인쇄된 글씨를 읽을 때 흐리게 보인다면 황반 변성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황반변성은 일반적으로 통증 없이 발생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기에 이에 대해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빛을 감지하는 황반의 역할
황반은 망막의 중심부로 선명한 시력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그리고 황반에 노화나 질병으로 인해 구조가 변화는 것을 통틀어 황반변성이라고 말합니다. 이 부위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가 밀집되어 있어 변성이 생기면 빛을 감지하는 기능이 떨어져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50세 이상에게 흔한 황반변성
황반변성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건성 황반변성은 5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아주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황반이 얇아지면서 중심 시력이 흐려지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개개인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시력이 악화됩니다. 심하면 책이나 TV를 보고, 운전을 하고, 심지어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참고 : 노안 언제부터? 이런 증상 있을 때는 시력을 잃을 수도
황반변성 증상
한쪽 눈에만 황반변성이 생기면 다른 건강한 눈이 시력을 보완하면서 변화를 눈치채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대표적인 증상을 확인하고 중심 시력에 변화가 있다면 안과 진료를 받길 권합니다.
- 한쪽 혹은 양쪽 눈의 중심 시력 감소
- 책이나 세밀한 작업을 할 때 더 밝은 빛이 필요
- 조명이 어두운 곳에 적응하기 어려움
- 인쇄된 글(책, 서류 등)을 볼 때 흐릿함
- 색상의 밝기 감소
- 시야에 흐릿하게 보이는 부분이 있음
반응형